소행성 탐사선이 갖고 돌아온 샘플에서 생명의 기원은 우주임을 암시하는 증거가 발견됐다.

미 항공우주국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제이슨 드워킨 연구원 등은 지난달 말 국제 학술지 네이처 애스트로노미(Nature Astronomy)에 이런 내용을 담은 조사 보고서를 냈다.

연구팀은 NASA가 소행성 탐사 미션 오시리스 렉스(OSIRIS-REx)를 통해 2023년 채취한 소행성 베누 샘플을 조사한 결과 생명체 존재로 연결되는 주요한 물질을 찾았다고 전했다.

소행성 베누 샘플을 들여다보는 제이슨 드워킨 연구원 <사진=NASA 공식 홈페이지>

해당 미션의 주체인 동명 탐사선은 2023년 지구 근방 소행성 베누 샘플을 지구로 보내왔다. 이는 NASA를 비롯해 일본과 캐나다 등 다양한 국가의 우주개발 주체들이 조사해 왔는데, 연구팀은 베누 샘플에서 탄산나트륨을 포함해 복수의 화합물을 검출했다.

제이슨 드워킨 연구원은 "이러한 화합물 중 일부는 과거에 채취한 소행성이나 지구 밖 암석 샘플에서는 확인된 바 없다"며 "화합물 중에는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외에 RNA와 DNA를 구축하는 5개 염기도 검출됐다"고 말했다.

연구원은 "물론 우리는 한 번도 외계생명체와 조우한 적은 없지만 이번 발견으로 지구의 생명이 우주에서 기인한 것일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며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의 하야부사2 미션의 성과인 류구 샘플 연구에 이어 생명의 기원에 다가가는 중요한 걸음을 내디뎠다"고 자평했다.

베누 샘플에 포함된 탄산나트륨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 <사진=네이처 애스트로노미 공식 홈페이지>

태양계가 탄생한 약 45억 년 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생각되는 베누는 나트륨 농도가 높은 물이 증발하고 미네랄 잔류물 덩어리가 남았다고 연구팀은 추측했다. 아울러 토성 위성 엔켈라두스나 소행성대 왜행성의 세레스 등 태양계의 다른 천체에도 이처럼 생명의 소재를 포함한 염수 잔재를 발견할 가능성이 있다고 기대했다.

제이슨 드워킨 연구원은 "특히 엔켈라두스는 지하에 바다가 있을 가능성이 크고, 생명체의 주된 소재 시안화수소나 인 등이 간헐천에 섞여 분출되고 있다"며 "NASA나 유럽우주국(ESA)이 추진하는 엔켈라두스 탐사에 거는 과학계의 기대는 대단히 크다"고 말했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