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도 사람처럼 고통을 느낀다는 구체적인 증거가 발견됐다. 

영국 퀸메리런던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곤충들이 물리적 아픔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을 소유했으며, 이 때문에 통증 역시 느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일부 생물학자들은 곤충이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고 여겼다. 한때 이는 생물학계의 통설이기도 했다. 곤충 역시 사람이나 다른 동물처럼 물리적 아픔을 느낀다는 가설도 제기됐지만 구체적 증거는 잡히지 않았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팀은 곤충의 통증 전달 메커니즘 유무를 살폈다. 대개 통증은 두 가지 과정을 통해 느껴진다. 예컨대 손이나 발을 벽에 부딪히면 침해 수용 현상에 따라 정보가 뇌에 전달돼 통증이 생성된다.

우리가 실제로 느끼는 통증은 이 경우는 아니다. 어느 정도의 통증을 느껴야 할지 뇌가 조절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을 하행성 통증 조절이라고 한다.

곤충은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는 이야기는 속설일 뿐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pixabay>

교통사고를 당한 직후에는 멀쩡했는데 병원에 도착한 뒤 아프거나 스포츠 경기 중 아무렇지도 않다가 경기 후에 통증이 오는 경우가 있다. 이는 뇌가 실제로 느끼는 통증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인간과 고등 동물들은 진화를 거치며 생존을 위해 이런 기능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연구팀은 이런 메커니즘을 곤충도 가졌다고 봤다. 연구팀 관계자는 “과거 연구에서 곤충에게도 동물과 마찬가지로 통증을 동반하는 체험에 반응하는 생리적 시스템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다만 그로 인해 우리처럼 곤충이 통증을 느끼는지까지는 불분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간의 경우 하행성 통증 조절은 세로토닌이나 노르아드레날린 등 뇌내 물질에 의해서 기능한다”며 “곤충의 경우 다리 등을 긁었더라도 이런 뇌 내 물질이 분비되지 않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같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신경펩타이드 분비가 확인됐다”고 전했다.

야외에서 흔히 사람 발에 밟히곤 하는 개미 <사진=pixabay>

신경펩타이드는 흥분의 전달 또는 억제에 관여하는 뇌내 물질이다. 연구팀 주장대로라면 곤충은 통증의 강도를 조절하는 구조를 가졌다. 이 때문에 연구팀은 곤충 역시 아픔을 느낄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최근 생물의 통증이나 감각에 대한 연구는 꽤 활발한 편이다. 문어와 오징어, 새우와 게에도 고통을 느끼는 기관이 있다는 확실한 증거가 이미 밝혀졌다. 영국 정부는 이런 연구 결과에 따라 지난해 갑각류를 포함한 사실상 모든 동물이 의식과 감각을 지녔음을 인정하는 법안을 통과했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