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과 일본이 공동 운용하는 행성 탐사선 베피콜롬보(BepiColombo)가 관측 사상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수성의 지표면을 촬영했다.

유럽우주국(ESA) 및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는 14일 각 공식 채널을 통해 이달 5일 이뤄진 베피콜롬보의 4회차 수성 플라이 바이 당시 찍힌 사진들을 공개했다.

베피콜롬보는 5일 오전 6시48분(한국시간) 수성으로부터 약 165㎞까지 접근했다. 이는 베피콜롬보를 비롯해 모든 관측 장비가 수성에 다가간 가장 가까운 거리이다.

JAXA 관계자는 "상당한 거리까지 나아간 덕에 베피콜롬보에 탑재된 모니터링 카메라(M-CAM) 3대를 이용해 서로 다른 각도의 수성 지표면을 찍을 수 있었다"며 "근접 약 4분 후 베피콜롬보의 카메라들은 수성의 수수께끼 같은 크레이터들을 최초로 포착했다"고 전했다.

수성 약 165㎞ 거리까지 접근한 베피콜롬보가 촬영한 이미지 <사진=ESA·JAXA 공식 홈페이지>

베피콜롬보가 촬영한 크레이터 중에는 폭이 약 155㎞인 거대한 것도 포함됐다. 국제천문연맹(IAU)은 이 분화구를 꽃 그림으로 유명한 뉴질랜드 화가 마거릿 스토다트의 이름을 따 스토다트(Stoddart)라고 명명했다. 또 다른 크레이터는 위대한 작곡가 안토니오 비발디의 이름이 붙었다.

ESA 관계자는 "수성의 충돌 크레이터는 2중 링 구조가 특징인 피크 링 분지(peak ring basin)라고 하는데, 이 작은 행성에 소행성이나 혜성이 충돌하면서 형성된다"며 "수성의 피크 링 분지는 만들어지는 모든 과정이 여전히 수수께끼"라고 설명했다.

이어 "링 모양으로 솟아오른 부분은 충돌 시 어떤 반동으로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면서도 "어느 정도의 깊이에서 암석들이 융기하는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수성 중앙의 새로운 크레이터. 링 2개로 구성되는 피크 링 분지의 전형을 보여주며, 뉴질랜드 화가의 이름을 따 스토다트로 명명됐다. <사진=ESA·JAXA 공식 홈페이지>

4회차 플라이 바이를 통해 베피콜롬보는 태양을 도는 주기가 수성 공전주기와 상당히 비슷한 88일(수성은 87.9691일)로 동기화됐다. 덕분에 ESA와 JAXA 공동 운용팀의 계산대로 태양계의 가장 안쪽 행성의 진화를 담은 46억 년 어치의 분화구들을 선명하게 담아낼 수 있었다.

베피콜롬보는 ESA가 제작한 수성 이동 모듈(Mercury Transfer Module, MTM)과 수성 표면 탐사기(Mercury Planetary Orbiter, MPO), JAXA가 만든 수성 궤도선 미오(Mercury Magnetopheric Orbiter, MMO 또는 Mio)로 구성된다. 세 모듈은 2018년 10월 발사된 이래 세로로 결합한 상태로 비행을 계속하고 있다.

베피콜롬보는 당초 2025년 12월 네 번째 플라이 바이를 통해 수성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었다. 다만 탐사선 전기 추진 모듈 이상이 발생하면서 수성 도착 시기는 2026년 11월로 조정됐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