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과 최대 위성 카론이 일시적으로 들러붙었다 떨어지면서 현재의 궤도가 형성됐다는 새로운 이론이 제시됐다. 학계는 지름 약 2400㎞의 명왕성이 거대한 카론을 어떻게 붙잡고 있는지 해명할 중요한 발상이라고 평가했다.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연구팀은 최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Nature Geoscience)에 낸 조사 보고서에서 명왕성과 카론이 약 45억 년 전 한 덩어리로 붙었으며, 이후 분리될 때 인력에 의해 안정된 궤도를 형성했다고 주장했다.

카론은 지름 약 1210㎞의 커다란 위성이다. 명왕성의 절반이 넘는 크기를 자랑하는 카론이 어떻게 위성으로 붙들려 있는지 수수께끼였는데, 애리조나대 연구팀은 이른바 키스 앤 캡처(kiss and capture) 이론이 가장 타당한 설명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15시간에 걸쳐 붙어있던 명왕성과 카론이 다시 떨어져 현재의 궤도를 형성하는 과정을 시뮬레이션한 화면 <사진=네이처 지오사이언스 공식 홈페이지>

한때 태양계 행성이던 명왕성은 천체가 밀집한 태양계 끝자락 영역 카이퍼 벨트에 속한 왜소행성이다. 그 최대 위성인 카론은 워낙 커 이중행성에 가까운 관계다. 태양계 주변에는 이러한 큰 위성을 가진 천체가 드물기에 그 형성 과정은 여전히 수수께끼다. 거대한 천체가 명왕성에 충돌해 카론이 형성됐다고 추측될 뿐이었다.

연구팀은 명왕성과 카론이 태양계에서 멀리 떨어져 온통 얼음과 바위로 뒤덮인 점에 주목했다. 두 천체의 충돌은 그다지 파괴적이지 않았고 얼음 덕분에 착 달라붙어 약 10~15시간에 걸쳐 융합됐다. 키스를 나눈 남녀처럼 이내 분리되면서 형성된 안정된 궤도가 현재에 이른다는 게 연구팀 결론이다.

조사 관계자는 "만약 두 천체가 액체와 같은 물질을 가졌다면 완전히 융합해 일체화했을 텐데, 얼음층이 워낙 두터워 강도가 둘은 분리되고 독립된 천체로 남았을 것"이라며 "엄청난 충격의 충돌이 아니라는 점에서 키스라고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티스트가 재현한 플루토(앞)와 카론. 지구와 달 수준이 아닌 거대한 위성의 크기가 인상적이다. <사진=미 항공우주국(NASA) 공식 홈페이지>

연구팀은 키스 앤 캡처 이론이 다른 천체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왜소행성 에리스와 위성 디스노미아, 소행성체(태양 주변을 도는 천체 중 행성이 아니면서 혜성도 아닌 것) 오르쿠스와 그 위성 반트를 꼽았다.

조사 관계자는 "카이퍼 벨트에는 명왕성 외에도 큰 위성을 가진 천체가 여럿 존재한다"며 "각각의 천체는 구조나 질량이 다르지만 키스 앤 캡처 이론의 범주 안에 드는 만큼 향후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