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개발 열기가 날로 고조되면서 우주 쓰레기를 줄일 방안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2일 포브스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2022년 5월 기준으로 미국은 인공위성 총 3415기를 우주 공간에 보유하고 있다. 중국이 535기로 2위를 차지, 최근 급성장한 역량과 입증했다.

3~5위에는 영국(486기)과 다국적(180기), 러시아(170기)가 각각 랭크됐다. 일본이 88기로 6위, 인도가 59기로 7위에 각각 올라 아시아권 우주개발의 주체임을 입증했다. 8위는 미 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국(ESA)과 함께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을 운용하는 캐나다(56기)다.

미 항공우주국(NASA)이 1991년 쏘아 올린 위성 'TDRS-5' <사진=NASA 공식 홈페이지>

인공위성은 여러 목적을 갖고 발사된다. 지구 대기나 지표 관측, 과학 실험, 태양 활동의 감시 등 위성마다 미션이 제각각이며, 이에 따라 투입되는 궤도도 모두 다르다.

최근 우주개발은 국가 기관이 주도하던 과거와 달리 스페이스X 등 초대형 민간 업체가 가세하며 경쟁이 치열하다. 인류의 마지막 개척지로 꼽히는 우주를 선점하는 데 있어 인공위성은 첨병이자 선발대 역할을 하고 있다.

달과 화성의 유인 탐사가 계획되는 등 우주개발이 고도화되면서 관련된 국제 조약이나 법 개정 움직임도 활발하다. 미 우주군을 지휘하는 챈스 살츠만 중장은 지난달 회견에서 우주개발 열기가 올라가며 각국이 이익 실현을 위해 과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경계했다.

우주 쓰레기의 공포를 잘 그린 영화 '그래비티'의 한 장면 <사진=영화 '그래비티' 스틸>

우주는 지금까지 국가적 이해를 초월한 영역으로 간주됐다. 개발 주체도 미국이나 구소련 등 강대국에 국한됐다. 다만 일본과 인도, 중국 등 후발주자들의 약진이 계속됐고 민간 업체의 도약이 두드러지며 우주 역시 지구처럼 이해관계에 대한 논란이 가열되는 분위기다.

이런 점에서 인공위성의 안전성과 관련된 법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우주개발을 국가가 아닌 범 지구적 관점에서 접근하면 위성이 자칫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하는 과정에서 파편이 지구에 떨어지거나 수많은 우주 쓰레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여 과학자 모임(UCS)은 "가장 중요한 것은 인공위성의 안전성"이라며 "우주 쓰레기를 가장 많이 발생시키는 것이 현재 인공위성인 만큼 국가들이 앞다퉈 경쟁하기 앞서 법이나 감시 기관을 만들어 기기의 안전성을 따져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