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의 추위에 견디기 위해 일부 동물이 취하는 겨울잠이 우주비행사의 인공 동면에 중요한 힌트를 준다는 가설은 오래됐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북극땅다람쥐의 동면에 주목한 알래스카대학교 페어뱅크스캠퍼스의 연구를 공식 지원하기로 최근 결정해 관심을 끈다.

20년 넘게 극지방 다람쥐와 곰의 생태를 들여다본 이 학교 연구팀은 현재 북극땅다람쥐의 효율적인 겨울잠을 분석하고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북극땅다람쥐는 1년 중 무려 9개월간 겨울잠을 잘 수 있으며, 체온은 아예 영하로 떨어지면서도 건강을 유지한다. 

연구팀 관계자는 “북극땅다람쥐는 현존하는 포유류 중 신체 온도를 가장 낮게 유지할 수 있는 동물”이라며 “겨울잠을 잘 때 뇌 온도는 빙점 가까이 떨어지며, 심장은 약 영하 3℃ 아래로 유지된다. 장기와 혈액 온도는 0℃로 내려가고 심장 박동은 분당 고작 1~2회”라고 설명했다.

북극땅다람쥐(오른쪽)의 동면을 연구하는 알래스카대학교 페어뱅크스캠퍼스 연구팀. NASA는 우주비행사 동면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이 연구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사진=NASA 공식 홈페이지>

동면 시 뇌 활동을 크게 둔화시키는 북극땅다람쥐는 세포분열이 거의 멈춘 상태에서 2~3주간 생존한다. 그럼에도 겨울잠에서 깨면 얼마 안 가 원래 상태로 돌아온다. 연구팀은 체온이 뚝 떨어져도 혈액이 얼지 않는 북극땅다람쥐의 비밀을 밝히는 데 집중하고 있다. 

동물의 겨울잠을 인공 동면에 응용하는 시도는 오래됐다. 우주비행사들에게 동면이 아주 중요하기 때문이다. 영화 ‘인터스텔라’를 통해 간접 경험한 것처럼, 우주 공간의 시간의 흐름은 지구와는 다르다. 뭣보다 행성 간 이동에서 인공 동면이 실현되면 생체시계를 멈춰 비행사의 노화나 질병을 막을 수 있다.

현재 기술로는 지구의 바로 이웃 행성인 화성에 가는 데만 편도 약 250일이 걸린다. 우주개발을 추진하는 학자들은 비행사들의 생체시계를 안전하게 멈출 인공 동면이 행성 간 이동 시간을 줄여줄 원자력 엔진 기술만큼이나 중요하다고 본다. 

행성에 홀로 남아 인공동면하는 우주비행사를 묘사한 영화의 한 장면 <사진=영화 '인터스텔라' 스틸>

연구팀 관계자는 “사람은 혼수상태로 오래 누우면 근육과 뼈, 내장이 대번에 약해진다”며 “동물 중에서도 극단적이면서 효율적인 겨울잠을 자는 북극땅다람쥐의 신체 비밀을 알아낸다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심우주 탐사에도 안심하고 사람을 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인공 동면은 무중력 탓에 쇠약해지는 근육과 뼈를 보호하고, 우주 비행에 드는 각종 자원도 훨씬 절약할 수 있게 해준다”며 “현재 비행사들은 몇 달 동안 좁은 우주선 안에서 공기와 물, 음식을 계속 소비해야 하지만 부작용 없는 동면이 실현되면 장기 우주 미션이 보다 활발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공 동면은 우주비행은 물론 난치병 치료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심장 발작이나 뇌졸중 등 위험한 기저질환을 앓는 환자를 안전하게 동면시키면 대사가 느려지기 때문에 치료 효과가 기대된다는 학자도 있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