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120년 전 발굴된 중석기시대 인간 유골이 인공지능(AI) 기술에 의해 복원됐다. 법의학 지식을 습득한 AI가 복구한 고대인의 정체는 15세로 추정되는 소년이다.

스웨덴 법의학자 겸 조각가 오스카 닐슨은 최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1907년 노르웨이 중석기 동굴에서 발견된 유골의 복원판을 소개했다.

약 8300년 전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이 유골은 노르웨이에서 가장 오래된 고대인 뼈로 꼽혀왔다. 크기로 미뤄 10~20대로 추정됐으며, 비스텍텐(Vistegutten)이라는 이름이 붙은 채 노르웨이 프레스테가드 박물관에 전시 중이다.

오스카 닐슨은 AI를 응용한 복원 기술을 활용해 희귀한 두개골을 가진 이 유골에 새 생명을 불어넣었다. 현대 기술로 재현된 소년의 키는 약 125㎝로, 두개골이 옆이 아닌 뒤쪽으로 비정상적으로 성장하는 주상두증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오스카 닐슨이 복원한 비스텍텐 소년 <사진=오스카 닐슨 공식 홈페이지>

오스카 닐슨은 “주상두증을 가졌더라도 다른 뼈의 상태로 미뤄 소년의 생활은 무리가 없었을 것”이라며 “시각예술 분야에서 확산 중인 AI는 역사가나 고고학자들도 주목하고 있으며, 특히 법의학을 접목하면 고대인이나 고생물의 실체를 들여다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스텍텐 유골은 발굴된 지 110년이 넘었지만 기존의 복원 기술로는 실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방대한 법의학 지식을 학습한 AI가 이런 난제를 풀어줬는데, 몇 달 전 스웨덴 검시관과 미술가들이 힘을 합쳐 복원한 4000년 전 석기시대 여성 얼굴이 좋은 예다.

오스카 닐슨은 “비스텍텐의 복원은 중석기 시대 젊은이들이 어떻게 생겼는지 잘 보여준다”며 “아울러 우리는 수천 년 전 살았던 인간과 현대인을 연결하고, 그들의 생활상이 지금과 어떻게 다른지 이해할 수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법의학과 조각을 익힌 오스카 닐슨은 AI를 이용해 약 120년 전 발굴된 소년 유골의 실제 모습을 재현해냈다. <사진=오스카 닐슨 공식 홈페이지>

그는 “머리색과 눈동자 색상, 피부색이 불분명해 박물관에 전시해도 위화감이 없을 만큼 중립적인 색상을 적용했다”며 “소년의 아래턱이 이상하게 작고 치아 상태가 비교적 좋다는 점은 향후 연구를 통해 풀어야 할 미스터리”라고 덧붙였다.

비스텍텐 소년 유골이 발굴된 동굴 내부에는 칡과 뼈로 된 장식품과 창, 갈고리와 작살 등 고대인 생활 흔적이 많이 남아 있었다. 이는 동굴이 사람들이 살고 요리하며 일하고 잠을 자는 거주와 활동의 장이었음을 보여준다.

오스카 닐슨은 “동굴에 낚시 도구가 있었다는 것은 물고기가 당시 사람들의 중요한 식량 중 하나였음을 보여준다”며 “뼈 장식품은 이들이 미적 감각을 지녔음을 의미하며, 자기표현이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개인적 장식품을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