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청난 피해를 낸 2011년 동일본대지진이 11일로 꼭 12년을 맞았다. 당시 지진 자체는 물론 쓰나미(지진 해일) 피해가 엄청났는데, 현지 방재 전문가들은 30㎝ 높이의 쓰나미라도 충분히 인명을 앗아갈 수 있다고 주의를 환기했다.

일본 내각부는 11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보고서에서 동일본대지진 당시 2만 명 넘는 사망 및 실종자를 낸 쓰나미의 위력이 어느 정도인지 소개했다.

내각부는 약 1m 높이의 쓰나미에 휩쓸릴 경우 사망률이 100%이며, 불과 30㎝ 높이라도 엄청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일본은 해일 높이가 20㎝~1m일 경우 주의보, 3m는 경보, 그 이상일 경우에는 대형 쓰나미 경보를 각각 내보낸다.

쓰나미는 높이가 불과 30㎝라도 성인을 휩쓸 만한 위력을 지녔다. <사진=pixabay>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당시 지진 해일 데이터도 포함한 이번 보고서에서 내각부는 쓰나미 높이가 30㎝라면 사망률은 불과 0.01%라고 봤다. ▲40㎝ 0.3% ▲50㎝ 4.8% ▲60㎝ 28.9% ▲70㎝ 71.1% ▲80㎝ 95.2%에 이어 90㎝ 이상일 때 사망률은 99.7%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다만 쓰나미가 덮치는 속도가 달리는 자동차 수준이어서 30㎝ 높이도 충분히 위험하다는 입장이다. 내각부는 “쓰나미는 상상 이상으로 밀고 휩쓰는 힘이 강하다”며 “높이가 낮더라도 충분히 어른을 거꾸러뜨리며, 이로 인해 한 번 물에 휩쓸리면 힘으로 빠져나오기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침수 높이가 30㎝부터는 건강한 어른도 걷기 어려워져 자칫 발을 헛디디면 떠내려갈 수도 있다”며 “30~50㎝에서는 차도 둥둥 뜨기 때문에 어른이라도 뭔가 붙잡지 않으면 단번에 휩쓸린다”고 경고했다.

쓰나미가 덮치기 전(왼쪽)과 후를 비교한 위성 사진. 차이가 확연하다. <사진=pixabay>

방재 전문가들은 쓰나미를 눈으로 보고 달리기 시작하면 이미 늦는 만큼 전조에 해당하는 지면 흔들림에 주의하고, 경보나 주의보 발령 직후 높은 곳으로 피신하라고 당부했다. 튀르키예와 시리아 국경에서 벌어진 강진에서 보듯, 지진 및 쓰나미는 언제 벌어질지 모르는 상황으로, 생존법을 숙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내각부는 “일단 피했더라도 안전하다는 생각을 버리고 가능하면 높은 지대로 계속 이동해야 한다”며 “쓰나미는 한 번에 그치지 않고 여러 번 반복되므로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되기 전까지 고지대를 찾을 것”이라고 전했다.

지진의 여파로 찾아오는 쓰나미는 원거리 국가에도 타격을 주는 것으로 이미 잘 알려졌다. 1960년 규모 9.5의 칠레 강진 및 2022년 통가 화산 폭발로 인한 쓰나미가 아주 멀리 떨어진 지역까지 피해를 준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