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이상적인 영화 상영시간은 92분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영화의 러닝타임은 배우나 시나리오, 연출 기법 못지않게 흥행이나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다.
미국 조사 업체 토커 리서치(Talker Research)는 26일 공식 채널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미국의 영화 마니아 2000명이 참가했다.
토커 리서치는 영화의 내용에 몰입하는 데 가장 좋은 러닝타임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을 진행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이 꼽은 이상적인 영화의 상영 시간은 1시간32분이었다.
조사 관계자는 “영화팬의 관심사가 다르고 집중력도 개인차가 있어 가장 적합한 러닝타임을 일률적으로 정할 수는 없다”면서도 “우리 설문에서는 최적의 영화 상영시간은 92분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토커 리서치에 따르면, 설문 참가자 중 120분이 가장 좋은 상영시간이라고 답한 이는 15%, 2시간30분 이상이 좋다는 사람은 2%였다. 92분을 기점으로 시간이 늘어날수록 이상적인 러닝타임이라고 보는 영화팬이 점차 줄었다.
설문 참가자들은 지난 2개월 동안 본 영화 중 2편은 너무 길었다고 응답했다. 23%는 본인 기준으로 너무 긴 영화를 3편 이상을 시청한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조사 관계자는 “최근 2~3시간이 훌쩍 넘는 영화가 적지 않다. 영화업계에서는 긴 작품일수록 훌륭하다고 생각하는 풍조가 있다”며 “이를 소비하는 영화팬들은 너무 긴 영화에 피곤함을 느끼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현존하는 가장 긴 영화는 피터 왓킨스(89) 감독 작품 ‘더 저니(The Jounry)’다. 무려 873분(14시간33분)으로, 이걸 보면 하루가 10시간도 남지 않는다.

이번 조사를 계기로 미국 영화 전문 사이트 IMDb가 꼽은 90~99분 베스트 영화 100편에도 눈길이 간다. 여기에는 ‘캐리’(1976)와 ‘맨해튼’(1979), ‘아비정전’(1990), ‘붉은 돼지’(1992), ‘저수지의 개들’(1992), ‘타락천사’(1995), ‘화양연화’(2000), ‘내 남자의 아내도 좋아’(2008), ‘블루 재스민’(2013) 등 다양한 연대와 장르의 수작이 포함됐다. 이중 정확히 92분인 영화로는 ‘윈체스터 73’와 ‘연인 프라이데이’ ‘알파빌’ ‘비틀쥬스’ ‘디제스터’가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영화 자막에 관한 설문조사(복수응답)도 실시됐다. 33%의 참가자는 집에서 영화를 볼 때 자막을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자막을 꼭 쓴다는 이는 그 절반가량인 16%였다. 자막 유무는 전혀 관계없다는 응답자는 77%였다.
조사 관계자는 “92분은 이전 영화시장이나 현재를 봐도 그리 긴 러닝타임이 아니다”며 “최근 TV 프로그램이나 유튜브 동영상을 빨리 감기로 보는 사람이 증가한 것이 영향을 준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