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코끼리가 사람처럼 상대방의 이름을 부르며 의사소통할 가능성이 동물행동 전문가에 의해 제기됐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교 동물학자 마이클 파르도 교수 연구팀은 최근 공개한 조사 보고서에서 아프리카코끼리의 놀라운 대화 능력은 상상을 초월할 만큼 뛰어나다고 주장했다.

야생 아프리카코끼리의 대화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 연구팀은 사바나가 펼쳐진 케냐 삼부루 및 암보셀리 국립 보호구역에서 1986~2022년 녹음된 코끼리 울음소리를 확보했다. 연구팀은 이를 컴퓨터 기계학습 모델로 일일이 분석하면서 각종 소리에 이름으로 판단할 만한 것들을 추려냈다.

마이클 파르도 교수는 "사바나의 아프리카코끼리 하면 야생동물 다큐멘터리의 우렁찬 울음소리를 떠올리기 쉽지만 대부분은 인간이 들을 수 없는 저주파음을 낸다"며 "우리는 이런 낮고 굵은 코끼리의 럼블(rumble) 사운드에 숨은 대화 방법에 집중했다"고 말했다.

아프리카코끼리가 돌고래, 앵무새 수준을 넘어 개체별 이름을 활용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진=pixabay>

연구팀은 기계학습 모델에 코끼리 울음소리의 특성을 나타내는 수치를 각각 부여했다. 이어 코끼리 울음소리가 어떤 개체를 향한 것인지 하나씩 학습시켰다. 이런 방식을 통해 완벽하지는 않지만 코끼리의 특정 울음소리가 향하는 개체를 예측했다.

완성된 기계학습 모델은 코끼리 울음소리가 향하는 대상을 27.5% 확률로 식별했다. 낮은 수치 같지만 무작위로 추측한 경우보다 훨씬 정확하며, 코끼리의 럼블 사운드에 이름으로 볼 만한 요소가 포함됐음을 시사한다는 게 연구팀 입장이다. 

특히 연구팀은 같은 아프리카코끼리의 울음소리라도 이를 받는 개체에 따라 유사도가 다르다는 점도 알아냈다. 즉 울음소리를 낸 개체에 특정 패턴이 있는 것이 아니라 수신하는 쪽이 고유한 요소, 일테면 이름을 가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연구팀은 호명 대상이 되는 아프리카코끼리가 제대로 반응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17마리의 이름이 포함된 것으로 생각되는 울음소리 파일을 재생했다. 그러자 놀랍게도 일부 코끼리가 귀를 크게 벌리고 펄럭이며 분명히 반응했다.

마이클 파르도 교수는 "코끼리들은 자기 이름이 포함된 소리를 들으면 그렇지 않은 소리와 비교해 평균 128초 빨리 발신원에 접근하고 평균 87초 빨리 응답했다"며 "이때 성량은 평소의 2.3배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결과는 아프리카코끼리가 문맥에 관계없는 소리일지라도 자신을 부르는 것으로 알아듣는다는 의미"라며 "이번 연구는 아프리카코끼리가 복잡한 사회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이름을 식별하는 소통 방법을 익혔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동물이 일종의 콜사인을 사용해 상대를 부른다는 사실은 돌고래 및 앵무새 실험에서 이미 확인됐다. 다만 아프리카코끼리는 듣는 쪽의 울음소리를 흉내 내 소통하는 돌고래, 앵무새와 달리 인간처럼 개체별 호칭을 구분한다고 연구팀은 주장했다.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