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300'에도 등장하는 그리스 병사의 투구가 실제로 발견됐다.
이스라엘 고대유물국(IAA)은 2500년전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중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비교적 양호한 상태의 청동 투구를 발견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IAA는 "청동 한 장을 가지고 열을 가하고 망치질하는 전문적인 방식으로 만들어졌다"며 "이 기술은 전사의 머리를 보호하는 능력을 유지하며 동시에 무게를 줄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투구는 아마도 당시 페르시아인들과의 해전에 나선 그리스 함대에 주둔한 전사의 것이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청동 투구는 과거에도 종종 발견됐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투구는 지난 2007년 네덜란드 선박이 해전이 벌어졌던 지역에서 찾아낸 것이다.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이 투구는 그리스 코린트 시의 이름을 딴 '코린트 형식'으로, 기원전 6세기경 처음 만들어져 인기를 끌며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이는 우리와도 관계가 있는데, 1936년 손기정이 베를린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한 기념으로 받은 게 청동 투구다. 당시 우승자에게는 부상으로 유물이 주어졌으며, 현재는 보물 904호로 지정돼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돼 있다.
한편, 실제 역사에서 페르시아가 그리스를 침공한 것은 두 차례다. 기원전 490년 일어난 첫 전쟁은 '마라톤 전투'로 잘 알려져 있다. 약 40㎞를 달려가 아테네 근처 마라톤에서 벌어진 전투의 승전보를 전하고 숨진 병사 페이딥피데스의 이야기로부터 마라톤 경주의 이름이 유래됐다.

스파르타의 왕 레오니다스가 등장하는 영화 '300'은 두 번째 침공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영화에서 보듯 스파르타 군은 기원전 480년 펼쳐진 테르모필레 협곡 전투에서 페르시아의 침공 속도를 늦추는 데 성공했다.
이후 아르테시미온 전투를 거쳐 그리스가 최종적으로 승리를 거둔 11년간의 살라미스 해전이 영화 '300: 제국의 부활'과 이번 투구가 발견된 배경이다.
채유진 기자 eugene@sputnik.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