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7년 국내 방송에서 변기 뚜껑을 닫지 않고 물을 내렸을 때 변기 속 물방울들이 어디까지 튀어나가는지 형광염료를 이용해 보여줘 많은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안겼다.

최근 이뤄진 한 연구에 따르면 물을 내릴 때 변기 뚜껑을 덮는 것만으로는 물방울이 튀어나가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 없었다. 또 남자화장실의 소변기도 똑같이 물방울을 퍼뜨렸다.

미국 애틀랜틱대학교 기계공학자 시드하타 베르마 교수 등 연구팀은 공중화장실의 좌변기와 소변기 주위에 물방울(에어로졸 입자) 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실험 전후 에어로졸 수준을 측정했다.

약 3시간 동안 100회 이상의 물내림을 실시한 결과 연구팀은 물방울이 좌변기의 경우 변기 위 109cm, 소변기는 69cm까지 튀었으며 이들 모두 공중에 20초간 머무는 것을 발견했다.

또 물을 내린 뒤 공중화장실 공기 중에는 0.3~0.5μm(100만분의 1m) 크기의 입자가 평균 69.5% 증가했고, 0.5~1μm의 입자는 209%, 1~3μm의 입자는 50% 늘어났다. 변기의 수압과 디자인 등에 따라 증가량은 차이를 보였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알고있듯 변기 뚜껑을 닫은 채 물을 내리는 것은 물방울이 분산되는 것을 어느 정도 막아주지만, 크기가 가장 작은 에어로졸들이 뚜껑과 변기 틈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게다가 남자화장실의 소변기는 뚜껑도 없다.

<사진=pixabay>

베르마 교수는 "좌변기와 소변기 모두 3μm 미만의 물방울을 다량으로 발생시키며, 이런 물방울들은 작은 크기로 인해 오랫동안 공기 중에 떠있을 수 있다"며 "여기에 감염성 미생물이 포함될 경우 심각한 전염 위험이 된다"고 말했다. 화장실에서의 코로나19 감염 위험성은 최근 다른 연구에서도 지적됐었다.

공중화장실은 대부분 좁고 통풍이 잘 안 되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등 전염병 감염의 많은 요소를 가지고 있다. 아직까지는 화장실을 통한 코로나19 감염은 보고된 바 없지만, 이론적으로는 위험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 설명이다.

연구팀은 화장실 내 환기를 잘 시키는 것을 가장 현실적이고 확실한 대비책으로 꼽았다. 그리고 사용자에게는 화장실에 오랫동안 머물지 말 것을 권했다.

채유진 기자 eugen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