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를 많이 피우는데도 오래 사는 사람들이 간혹 있다. 골초들이 장수하는 이유는 그간 의학적으로 특정되지 않았는데, 최근 연구에서 일종의 방어 시스템이 우리 몸에 존재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 알버트아인슈타인의과대학교는 11일 발표한 논문에서 흡연자임에도 오래 사는 사람들은 폐암을 일으키는 유전자 변이로부터 몸을 지키는 방어 시스템을 가졌다고 주장했다.

담배가 몸에 해롭다는 것은 여러 연구 결과 밝혀진 사실이다. 흡연하면 심장병, 당뇨병, 뇌졸중 등 치명적 질환의 발병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폐암의 경우 직접 흡연과 상당한 관련성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몇 십 년에 걸쳐 하루 한 갑 이상 담배를 피운 일부 골초가 폐암에 걸리지 않는 이유를 특정하기 위해 피실험자들을 모았다. 비흡연자 14명(11~86세)과 흡연자 19명(44~81세)의 폐 상피세포를 채취, DNA 증폭법으로  각각의 돌연변이 수를 측정했다.

실험 관계자는 “담배를 피우면 폐암에 걸리는 것은 폐세포 DNA에 돌연변이가 일어나기 때문”이라며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 폐세포에는 돌연변이가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세포 돌연변이 양도 피우는 담배 개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장기간에 걸쳐 담배를 피우면서도 폐암에 걸리지 않는 사람들은 DNA 돌연변이를 막는 일종의 방어 시스템을 가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pixabay>

다만 일부 골초 피실험자들에게서는 돌연변이를 멈추게 하는 메커니즘이 관찰됐다. 실험 관계자는 “우리 몸에는 아무래도 DNA 손상을 복구하거나 담배를 무해하게 만드는 어떤 기능이 있는 듯하다”며 “이 시스템이 돌연변이를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이어 “흡연량이 상당한데도 장수하는 사람들은 돌연변이의 축적을 어떻게든 억제하는 뭔가를 가졌지만 여기에도 한계는 있었다”며 “하루 담배 한 갑을 1년간 매일 피운다고 가정했을 때 23년이 지나면 포화상태가 된 돌연변이를 더 이상 억제할 수 없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 수가 비교적 적어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점은 인정했다. 그럼에도 이번 실험 결과가 폐암의 조기 발견에 도움이 될지 모른다고 기대했다. 연구팀은 향후 DNA의 복구 및 담배의 무해화 기능을 수치로 측정할 수 있는지 검증할 예정이다.

실험 관계자는 “DNA 복구나 무해화를 측정하는 새로운 분석법을 고안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며 “그렇게 되면 폐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새로운 검사법이 탄생, 의학계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