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렌즈 효과로 왜곡된 은하에서 4년 사이 초신성 2개의 흔적이 발견됐다. 허블우주망원경과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합작한 대단한 결과에 학계가 주목했다.

미국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STScI)는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관측한 은하단 'MACS J0138.0-2155' 및 여기 속한 은하 'MRG-M0138' 사진을 최근 공개하고 숨어있던 초신성의 존재를 발표했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은 지난해 11월 고래자리 방향의 은하단 'MACS J0138.0-2155'를 정밀 관측했다. 이 데이터를 분석한 STScI은 은하단 'MACS J0138.0-2155'의 중력렌즈 효과를 받는 100억 광년 떨어진 은하 'MRG-M0138'에 미지의 초신성 잔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은하 MACS J0138 내부의 초신성 잔해 2개(왼쪽)와 그 확대도(오른쪽) <사진=STScI 공식 홈페이지>

STScI에 따르면, 이미지는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의 근적외선 카메라(NIRCam)가 지난해 11월 17일 얻은 관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중력렌즈란 앞에 있는 천체의 질량에 의해 시공간이 왜곡되는 현상으로, 그 맞은편 천체에서 나온 빛의 진행 방향이 변화하기 때문에 상이 왜곡 또는 확대돼 보인다.

별 수백억~수천억 개가 모인 은하의 집합체 은하단은 엄청난 질량 때문에 지구에서 볼 때 그 건너편에 자리한 머나먼 은하가 왜곡된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2022년 7월 공개한 첫 테스트 사진은 수많은 은하단의 질량 때문에 휘어진 은하 수백 개가 담겨 놀라움을 줬다.

허블우주망원경과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각각 2016년과 2023년 찍은 은하 MACS J0138 <사진=STScI 공식 홈페이지>

STScI 관계자는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촬영한 'MRG-M0138'에서 확인된 광점 2개는 은하에서 발생한 초신성 잔해"라며 "중력렌즈 효과에 의해 두 개로 분열돼 보이는 광점은 백색왜성이 관련된 1a(원에이)형 초신성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사실 은하 'MRG-M0138'에서는 이미 초신성 잔해가 발견됐다. 2019년 또 다른 연구팀은 2016년 허블우주망원경이 얻은 'MRG-M0138'의 데이터를 분석하다 상이 3개로 분열된 초신성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 Ia형 초신성을 레퀴엠(Requiem)이라고 명명했다. STScl은 같은 은하에서 또 다른 초신성이 나왔다는 의미에서 앙코르(Encore)라는 이름을 붙였다.

많은 양의 가스와 먼지를 형성하는 초신성 잔해의 확대 사진. N 63A이며, 이번 기사와는 관련이 없다. <사진=유럽우주국(ESA) 공식 홈페이지>

학계는 초신성이 중력렌즈 효과를 받게 되면 지금까지 생각한 거리보다 훨씬 멀리서 발생하더도  충분히 관측 가능하다는 것을 레퀴엠, 앙코르가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STScI 관계자는 "대개 초신성은 어디서 발생하는지 알 수 없지만 레퀴엠과 앙코르는 뒤늦게 출현한 상의 발생 장소와 시기를 예측한 예외 사례"라며 "2035년쯤 출현할 것으로 보이는 레퀴엠의 마지막 상을 관측한다면 우주의 현재 팽창률을 나타내는 허블 상수의 정확한 값을 새로 뽑아낼 수 있을지 모른다"고 기대했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