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은 아주 천천히 오그라들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 달 지진이 발생해 육지의 붕괴를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등이 속한 공동 연구팀은 25일 공개한 관측 보고서에서 달이 지난 몇 억년에 걸쳐 끊임없이 축소됐고, 달 지진이 늘어 지표면 균열이 가속화 중이라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현재 미 항공우주국(NASA) 등이 앞다퉈 달 남극을 탐사하고 있지만 여기 기지를 설치할 경우 향후 지속되는 지진에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는 입장이다. NASA는 유인 달 탐사 '아르테미스' 계획을 2022년 말 시작했으며, 2026년 이후 유인 달 탐사에 나선다. 다만 연구팀은 남극의 일부 지형과 절벽이 무너지기 쉽게 변화했다고 경고했다.

인류의 개발 활동이 집중되는 달 <사진=pixabay>

달이 축소된다는 주장은 전에도 나왔다. 점차 차가워지는 핵이 점점 쪼그라드는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메릴랜드대 천문학자 니콜라스 슈머 교수는 "포도를 건조하면 겉이 쪼글쪼글해지는 것과 같이, 달의 표면은 갈라지고 지진이 많아졌다"며 "천발월진, 즉 얕은 달 지진의 경우 지표면으로부터 50~220㎞ 깊이에서도 일어난다"고 전했다.

이어 "지구의 지진은 몇 초에서 몇 분 만에 엄청난 피해를 주는데, 천발월진은 무려 몇 시간 계속될 수 있다"며 "천발월진은 반세기 전 NASA의 아폴로 계획에서 최대급이 리히터 규모 5로 밝혀졌지만 흔들림이 길면 그 위력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아폴로 계획 당시 지진계가 감지한 최대급 달 지진의 진원지가 남극인 점을 강조했다. 아래 그림의 자주색 및 파란색 동그라미는 천발월진의 진원지로 예상되는 곳이다. 사각형은 비행사를 태우고 발사할 '아르테미스 III' 미션의 '오리온' 우주선 착륙 후보지다.

달 남극의 천발월진 진원지(자주색 및 파란색 동그라미). 사각형은 NASA가 뽑은 오리온 우주선 착륙 후보지들이다. <사진=NASA 공식 홈페이지>

이번 연구에 참여한 미국 스미스소니언협회 행성학자 토마스 와터스는 "지금까지 이어온 달 남극의 시뮬레이션은 지속되는 지진으로 인한 기존 단층의 미끄러짐은 물론 새로운 충상단층의 출현을 시사한다"며 "만약 인류가 물이 묻혔다는 이유로 달 남극에 집착한다면 엄청난 지진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현재 유인 달 탐사 '아르테미스' 계획을 진행하는 NASA는 물론 러시아나 인도, 일본, 중국 등 다른 국가도 달 남극에 주목한다"며 "달 착륙 지점을 확정하기 앞서 달 지진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해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달이 쪼그라드는 속도나 정도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의견이 다르다. NASA는 2010년 달 정찰 위성(LRO)의 관측 결과를 토대로 달의 탄생 이후 지름이 약 182m 축소된 것으로 추측했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