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만5000년 전 인류가 처음으로 발을 디딜 당시의 호주 대륙 형태가 과학자들에 의해 복원됐다. 현재의 호주 대륙은 본토와 뉴기니 섬으로 이뤄지며, 약 7만 년 전에는 해수면이 지금보다 훨씬 낮았다.

호주 시드니대학교 연구팀은 7만5000년 전에서 3만5000년 전의 방대한 기후변화 모델을 이용해 최초의 수렵채집 민족이 사훌(Sahul, 호주가 뉴기니 및 태즈메이니아와 연결됐던 빙하기의 명칭) 대륙을 횡단해 정착할 당시 지형과 환경을 사실적으로 복원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대륙에 인류가 처음 상륙한 때는 약 6만5000년 전으로 여겨진다. 이후 인류가 어떻게 이곳을 이동하고 퍼져 나갔는지 경로나 시기에 대한 전체상은 지금까지 파악되지 않았다. 여러 가설이 존재하지만 정확히 입증된 것은 없다.

시드니대학교 연구팀이 복원한 6만5000년 전 호주(사훌) 대륙. 뉴기니 섬이 붙어 있으며, 상단의 두 곳이 인류의 진입 경로로 추측된다. 지도상 파란색은 이동이 적은 곳, 빨간색은 이동이 활발한 곳을 각각 나타낸다. <사진=시드니대학교 공식 홈페이지>

연구팀은 지형 변화 상황에 따라 수천 개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고 각각 유추 가능한 이동 경로를 알아봤다. 우선 사훌 대륙에 대한 인류의 2개 출입 루트, 즉 7만3000년 경 서파푸아 북쪽 루트와 7만5000년 경 티모르 해붕 남쪽 루트를 지정했다.

시뮬레이션을 이어간 연구팀은 현존하는 고대인 유적의 분포와 연대를 바탕으로 인류의 확산 속도를 계산했다. 추정 속도는 연간 0.36~1.15㎞였다. 이는 이전 추정과 비슷한 수준으로, 인류가 대륙 전체에 매우 빠르게 퍼져 나갔음을 보여준다.

실험 관계자는 “호주 대륙의 첫 정착민들은 카펜테리아 호(현재의 카펜테리아 만)의 양쪽 강을 따라 대륙 내부로 확산한 것으로 보인다”며 “강의 흐름을 따라 식량을 찾으면서 길을 개척해 나간 이들은 해수면이 다시 상승함에 따라 해안선을 따라 이동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인간이 호주 대륙에 처음 발을 디디고 어떻게 퍼져 나갔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활발하다. <사진=pixabay>

이어 “이들의 이동 경로는 100% 특정할 수 없었지만 방사상 물결 모양의 이주 패턴은 작성했다”며 “카펜테리아 호의 동쪽, 에어 호의 남쪽 회랑, 내륙을 횡단하는 회랑 등 슈퍼 하이웨이로 불리는 원주민 이동 경로 근처에 실제로 사람이 있었을 가능성이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번 실험 기법이 다른 지역이나 대륙에도 얼마든 응용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더 많은 학자가 참여해 대규모 조사를 실시하면 아프리카를 떠난 인류가 걸어온 장대한 여정의 전모를 알 수 있다고 기대했다.

실험 관계자는 “사훌 대륙 최초의 인류 이동을 생각할 때 간과되는 것은 호주의 지형이 현재와 다르다는 것”이라며 “지구의 표면은 다양한 물리적, 생물학적 진화에 의해 항상 변화하고 있어 지질학적 시간의 경과와 함께 대규모로 그 형태를 바꾸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