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 수백 마리가 새의 몸 위를 기어 다니는 기묘한 영상에 관심이 집중됐다. 언뜻 죽은 새를 개미들이 해체하는 것 같지만, 자세히 보면 개미욕(anting)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야생동물을 가까이서 접할 수 있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캠핑 시설 음쿰베 부시 러지(Umkumbe Bush Lodge)는 최근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온몸에 개미가 달라붙은 코뿔새 영상을 소개했다.

온몸에 개미를 달고 개미욕을 즐기는 코뿔새 <사진=음쿰베 부시 러지 공식 페이스북>

개미떼의 습격을 당한 것처럼 보이는 코뿔새는 사실 한가롭게 개미욕을 즐겼다. 코뿔새는 개미가 분비하는 화학물질 일부를 이용해 깃털 깊숙이 박힌 진드기나 기생충을 구제했다.

조류학자들에 따르면 코뿔새는 물론 까마귀, 찌르레기 등 약 250종의 새가 개미욕을 한다. 새는 기본적으로 부리를 이용해 기생충을 잡거나 모래찜질로 청결을 유지하는데, 개미욕만큼 효과적인 게 없다고 학자들은 입을 모았다.

시설 관계자는 "개미는 포름산 같은 천연 살충제를 분비하기 때문에 새들의 몸을 훑으면 기생충 구제 효과를 발휘한다"며 "수많은 개미가 몸 위를 뒤덮는 것만으로 새들은 많은 도움을 받는다. 부리가 닿지 않는 곳에 박힌 벌레도 쉽게 잡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새의 종류에 따라 개미욕의 스타일도 제각각"이라며 "영상 속 코뿔새처럼 둥지에 앉아 개미가 몸 전체를 기어 다니도록 내버려두는 유형이 있는가 하면, 까마귀처럼 스스로 개미를 날개에 문대는 새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윤서 기자 lys@sputnik.kr 

⇨스푸트니크 블로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