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딕트 컴버배치 "해로운 남성성, 고쳐야 할 문제"
2021-11-29 10:45

"남성들의 행태, 고쳐나갈 필요 있다."

할리우드 스타 베네딕트 컴버배치(45)가 최근 주목받는 '톡식 매스큘리니티(Toxic Masculinity)', 일명 '해로운 남성성'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베네딕트 컴버배치는 최근 스카이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주위에 위압적 영향을 행사하려는 남성들의 행태는 분명히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넷플릭스 신작 '파워 오브 도그(The power of the dog)'에서 고압적 농장주를 연기한 그는 "1920년대 미국 몬태나 주를 무대로 한 이번 영화는 '해로운 남성성'의 전형적 인물 필과 주변의 갈등에 집중했다"며 "이런 남성성이 역사를 거치며 어쩔 수 없이 만들어졌다는 주장은 더 이상 설득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극중에서 고압적 카리스마로 주변을 짓누르는 필 <사진=영화 '파워 오브 도그' 스틸>

그는 "적잖은 남성들이 '해로운 남성성'은 가부장제 사회의 산물이라고 치부한다"며 "스스로 이런 점에 의문을 갖고 정면으로 비판한다면 남성들이 먼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베네딕트 컴버배치는 "관련 이슈가 생겼을 때 '모든 남성이 나쁘지는 않다'는 변명을 하지만 제 생각은 다르다"며 "모든 남성이 '해로운 남성성'과 관련된 문제들에 눈과 귀를 열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해로운 남성성'은 강하고 지배력 있는 통념적 남성상에 대한 반감에서 비롯됐다. 인류 역사상 남성은 강하게 진화될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에  왔다는 반하는 개념으로 최근 영화나 드라마가 이를 적극 도입하는 추세다. 비단 문화뿐 아니라 정치, 산업 등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서 '해로운 남성성'은 크게 주목받고 있다.

서지우 기자 zeewoo@sputnik.kr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네이버포스트 바로가기
⇨스푸트니크 유튜브 채널 바로가기

노랑초파리 뇌 최초 맵핑...근성의 학자들
금성의 물, 이미 30억 년 전 말라 붙었나
뇌로 조작하는 바이오 컴퓨터, 왜 중요한가
기술의 발달이 열어준 '원격 키스' 시대
사냥감 새끼 돌보는 포식자의 희한한 심리
인기기사
추천기사
회사소개 | 윤리강령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로 25 상록빌딩 4084
대표전화: 02-3144-0426
제호: 스푸트니크
등록번호: 서울 아 52776
발행일: 2019-12-31 | 등록일: 2019-12-30
청소년보호책임자: 임주환 | 발행·편집인: 김세혁
제휴문의: starzooboo@sputnik.kr
copyrightⓒ2019 sputnik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