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20m로 추정되는 거대한 메갈로돈들은 주로 차가운 바다에 살았을 것이라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드폴대학교 연구팀은 6일 국제 학술지 ‘역사생물학(Historical Biology)’에 공개한 논문에서 찬물이 메갈로돈의 거대화를 촉진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연구팀을 이끄는 고생물학자 시마다 켄슈 교수는 약 1500만~360만년 전 생존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상어 메갈로돈의 체형과 서식지에 대한 분석을 계속해 왔다. 메갈로돈은 현재 남은 화석이 이빨이나 척추 일부가 대부분으로, 크기에 대한 학계 의견이 여전히 분분하다.
시마다 교수는 메갈로돈의 실제 몸집이 이빨 화석이 발굴된 지역과 관계가 있다고 보고 연구를 진행했다. 그 과정에서 학계가 간과한 고대 상어의 체격 패턴을 발견한 교수는 ‘베르크만의 법칙(Bergmann’s rule)’에 입각, 메갈로돈이 추운 해역에서 더 크게 성장했다고 추측했다.
베르크만의 법칙이란 추운 지방의 정온동물이 따뜻한 지방의 같은 종보다 크고 무거워지는 경향을 말한다. 메갈로돈이 추위로부터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체열을 덜 발산하도록 적응하면서 몸집이 점점 커졌다는 게 시마다 켄슈 교수의 주장이다.
교수는 “이번 연구는 메갈로돈의 이빨 화석이 발굴된 지역과 몸집의 관계를 재검증한 것”이라며 “베르크만의 법칙이라는 지리적 요인에 의해 좌우되는 생태학적 패턴이 메갈로돈에게도 들어맞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추운 지역에서는 몸이 큰 편이 체온을 유지하기 쉽다. 즉 극지방으로 갈수록 동물은 대형화한다고 보면 된다”며 “원래 상어와 같은 해양 먹이사슬의 정점에 군림하는 포식동물들은 추운 바다에 서식하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메갈로돈이 모두 추운 극지방에 분포한 것은 아니며, 서식한 지역에 따라 몸집 역시 차이가 상당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즉 보다 따뜻한 수역에 산 개체들은 이빨이나 척추의 부분 화석이 극지방의 메갈로돈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것으로 판단했다.
고대 수중 포식동물을 상징하는 메갈로돈은 다양한 연구에도 정확한 크기는 물론 생김새까지 모두 추측만 가능할 뿐이다. 백상아리나 고래상어 등 현존하는 어떤 상어와 비슷하게 생겼는지조차 의견이 분분할 정도로 밝혀진 사실이 많지 않다.
정이안 기자 anglee@sputnik.kr